(원투원뉴스)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소속 차지호 국회의원(경기 오산시, 더불어민주당)은 29일 국회 사랑재에서 '다중위기 시대를 대비한 글로벌 협력: 기후위기와 순환경제 전략의 연계'를 주제로 기후외교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기후위기, 자원 불안정, 사회적 불평등 등으로 대표되는‘다중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정책 협력을 위해 마련됐으며, 국회 기후특별위원회·UNEP(유엔환경계획)·한국기상학회·국제개발협력학회·KAIST 미래전략대학원과 공동으로 주최했다. 정부, 국회, 산업계, 학계, 국제기구 관계자 등 약 50명이 참석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기후적응 정책과 순환경제 전략의 접목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제7차 평가보고서가 강조한 구조적 전환의 시급성에 주목하며, 과학적 경고와 정책적 실행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했다. 또한, 제품의 설계부터 사용, 회수까지 전 과정을 재설계하는 순환경제 모델이 온실가스 감축, 자원소비 절감, 정의로운 전환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핵심 해법임을 강조했다.
위성곤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앞으로의 다중위기 대응을 위해 국회는 제도적 설계와 재정적 뒷받침을, 정부는 집행력 있는 정책을, 민간은 혁신과 투자를 통해 초기 시장 형성에 동참해야 한다”고 밝혔다.
차지호 의원은“현재 우리가 직면한 글로벌 경제, 사회의 위기는 기후위기와 맞닿아 있다”며 “현재 다중위기는 국경을 넘어선 글로벌 연대 없이는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는 ▲타이칸 오키 전 유엔 사무차장(도쿄대 교수) ▲셸라 아가왈칸 UNEP 산업경제국장 ▲이미선 기상청장 ▲정기용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등 주요 국제 전문가와 정부 관계자가 참여했으며, 환경공단·KOICA·민간기업·환경부·산업부 관계자들도 함께 구체적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이번 포럼은 기후과학 분야 전문가들과 순환경제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한 논의의 장으로, 국회·정부·국제기구가 공통 과제를 공유하고 실질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