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8시 20분쯤 대전 유성에 소재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 현장은 국가 주요 서버가 있는 전산실이다. 역대 어떤 정부든 새 정부가 들어서면 가장 먼저 점검하는 것이 국가 안보, 경제를 비롯해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가장 먼저 점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국가 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는 ‘사고’가 아니라 ‘참사’다. 국가 행정의 심장, 국민 데이터의 금고라 불리는 곳이 한순간에 불길에 휩싸였다. 그런데 정부는 “큰 피해는 없다”는 말만 반복하며 사태를 축소하려 하고 있다. 이 무책임한 태도야말로 진짜 재앙이다. 국민은 지금 묻고 있다. 국가정보 시스템 관리가 이렇게 허술한데 우리의 정보는 과연 안전한가?
국가 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의 무능과 은폐가 더 큰 재앙이라고 지적하는 여론이 비중을 더하고 있다.
어느 곳이든 어떤 장비든 사고는 있을수 있다. 그러나 이번 화재가 난 곳이 어딘가? 국가 전자 시스템에 의해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는 국가 정보자원관리원 이다. 역대 정부에서도 여기에 화재가 났다는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없다.
그런데 이 중대하게 관리 되어야 하는 국가기관에서 화재가 났다. 특히 이곳은 사고에 대비한 각종 메뉴얼들이 철저하게 보안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곳이다. 화재란 예측 불가능한 것이지만, 그러나 이 화재 현장이 어던 곳인지는 익히 잘 아는 사실이다. 그야말로 우리속담에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격이나 '사후약방문'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답변자인 소방서장도 당시 상황을 분석해 브리핑을 하였지만 화재 원인에 대한 의구심은커져만 가고 있다.
정부는 단순 누전, 설비 노후화 같은 변명을 늘어놓기 전에, 왜 화재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는지부터 명확히 밝혀야 한다. 이중화·삼중화 시스템을 자랑하던 정부가 왜 총체적 서비스 마비를 막지 못했는지, 백업 서버는 실제로 작동했는지? 복구 체계는 왜 지연되었는지? 모두 공개해야 한다. 그렇지 않는다면 이번 참사는 단순 화재가 아니라 '정부의 낳은 국가 마비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며 엄청난 후폭풍으로 국민들의 신뢰를 잃게 될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정부의 은폐 가능성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사고 직후 정부는 즉각적인 정보 공개 대신, 일부 언론만을 대상으로 한 ‘유출 차단’, ‘선별 브리핑’으로 일관했다면 이는 명백한 국민 기만이다.
혹시, 이번 화재가 특정 시점에 맞춰 의도적으로 발생했는지, 내부자 소행은 아닌지, 최근 진행 중인 수사·감사 관련 데이터가 사라진 것은 아닌지 의혹이 꼬리를 문다. 정부가 떳떳하다면 전면 공개 수사에 나서라. CCTV 기록, 서버 로그, 소방 대응 기록까지 모두 국민 앞에 내놓아야 한다.
정치권의 책임 공방은 더 가관이다.
여당은 전 정부 탓을 하고, 야당은 책임론을 외치며 정치적 이득을 계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정권의 흑백논리로 덮을 문제가 아니다. 밤새 불이 타도록 지연된 이유가 전산실 내부 온도가 160도 이상 치솟아 화재 진압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중요한 국가 기관에서 화재이긴 하나 진압에 어려움을 겪는 등 불 타는 현장을 적극적으로 진압하지 못하는 속수무책의 상황으로 화재 당일인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은 밤새 불 탓다. 이곳은 모든 국민들의 정보 자료와 서비스를 총괄하는 곳이 아닌가?
국가 정보 인프라 시스템이 불타고 있는 동안 여야는 남 탓만하는 책임 회피가 아니라 재발 방지 대책을 위해서라도 이번 사건에 대해서 협치 정신을 보여주기를 기대해 본다. 이번 화재 사건이야말로 여야가 합의하여 국정조사를 실시하여 국민적 의혹을 해소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국민은 더 이상 말 뿐인 대책을 원하지 않는다. 어느 쪽이든 국정조사를 반대하는 쪽이 따가운 국민적 시선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 국가정보관리원 화재 사건의 의혹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한 점 의혹 없이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이번 화재 사건의 원인을 국민앞에 낱낱히 알려야 한다는 여론이 들 끓고 있다.
이번 화재는 국가 정보보안의 최대 위기이자, 정부 무능의 민낯을 보여준 사건이다. 정부는 모든 책임자를 문책하고, 전면적 안전 점검과 설비 교체, 클라우드 기반 분산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즉각 선언해야 한다. 만약 이번 사태를 축소·은폐하려 든다면, 국민의 분노는 정권 전체를 뒤흔드는 ‘제2의 국정농단’으로 번질 것이다. 정부는 더 이상 국민을 시험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