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투원뉴스) 고양특례시는 지난 19일 지축지구 생활대책용지와 관련해 ‘직소민원 소통의 날’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면담은 지축지구 피수용인 생존대책위원회 주민들의 목소리를 이동환 시장이 직접 듣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면담에는 이동환 시장과 관계 부서장을 비롯해 지축지구 피수용인 생존대책위원회 김동연 위원장을 비롯한 조합장·조합원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주민 측은 △LH의 계약 해제 조치에 따른 피해 문제 △불합리한 공급 절차 및 조건 △생활대책용지 활용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허용용도 변경 검토 등을 요구했다.
특히 ▲2006년 지축지구 지정 이후 2021년에야 공급이 이뤄진 점 ▲타 지구보다 높은 공급가격 ▲비전문가인 원주민 대상의 촉박한 공급계획 통보 ▲협의 미완 상태에서의 계약 해제 통보 등을 지적하며 시 차원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주민들은 또한 “한 달 안에 조합을 만들어 신청하지 않으면 권리를 박탈하겠다고 통보를 받았다. 세부적인 사업성을 따질 여유도 없이 부랴부랴 조합원들을 찾고 구성하기에 바빴다”며 불합리한 제도 운영을 비판했다. 이어 “194평 부지에 28억 5천만 원이라는 높은 분양가가 책정돼 외부 건축업자들도 ‘이 가격에는 사업성이 없다’며 외면하는 실정”이라며 절박한 상황을 호소했다.
이에 대해 이동환 시장은 “시민 여러분의 의견에 충분히 공감한다”며“주민들의 입장을 LH와 관계 부처에 적극 전달하고 법과 제도의 범위 내에서 지원 방안을 끝까지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주민들이 제기한 문제와 요구사항을 LH 본부에 직접 전달하고, 본부 차원의 조치를 촉구할 것 등을 부서에 지시했다. 이에 따라 시는 주민들의 생활 안정과 권리 보호를 위해 시가 취할 수 있는 모든 대응 방안을 적극 모색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이 시장은 “생활대책용지는 원주민들의 생존 대책 차원에서 공급된 만큼 이번 사안은 단순한 계약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라며 “고양시는 주민들과 함께 끝까지 해결책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향후에도 주민과의 직접적인 대화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시정에 반영하고,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