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투원뉴스) 국회 포럼이 22일 제주 방문 이틀째 일정으로 제주형 통합돌봄 현장을 찾았다.
국회 ‘건강과 돌봄 그리고 인권포럼'(대표 이수진 의원)과 ‘저출생 축소사회 대응포럼'(대표 백혜련 의원) 의원 9명은은 이날 서귀포시 통합돌봄지원센터에서 현장 간담회를 갖고 제주의 통합돌봄 모델을 직접 확인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 자리에서 2023년 10월 출범한 ‘제주가치돌봄'의 성과를 공유했다.
‘제주가치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도민 누구나 살던 곳에서 계속 살 수 있도록 일시재가, 방문목욕, 식사지원, 동행지원 등 9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주형 돌봄 모델이다.
출범 2년 만에 이용자 1만 2,301명을 기록했으며(2025년 10월 말 기준), 참여 민간기관도 초기 13개소에서 35개소로 늘어났다.
간담회가 열린 서귀포시 통합돌봄지원센터는 제주형 통합돌봄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센터는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돌봄 공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계됐으며, 건강·복지·주거·정신건강 등을 통합 연계해 어르신들을 지원한다. 현재까지 870명의 어르신이 이 센터를 통해 통합돌봄 서비스를 이용했다.
제주도는 이날 간담회에서 제주형 통합돌봄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한 중앙정부 차원의 제도화와 예산 지원을 요청했다.
오영훈 지사는 “제주가 만들어 온 지역사회 통합돌봄 성과와 경험이 전국에서 모범사례로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제주가치돌봄 정책을 보완하고, 중앙정부, 국회와 긴밀히 협력해 누구나 돌봄으로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제주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 포럼 의원들은 21일 제주도청에서 제주형 건강주치의와 응급의료 전달체계 구축 간담회를, 오후에는 서귀포시 국세공무원교육원에서 저출생 고령사회 대응 간담회를 가졌다.
국회 포럼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제주의 선제적 복지정책을 바탕으로 저출생 고령사회 대비 현장 중심의 세제·세정 지원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