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투원뉴스) 충남소방본부는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천안 상록리조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6회 전국 화재조사 학술대회’에서 최우수상(행정안전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소방청이 주관하고 전국 19개 시·도 소방본부가 참여한 가운데, 각 시·도 대표가 화재조사 연구논문을 발표해 조사·감식기법 발전을 위한 사례와 연구결과를 공유하는 전국 최고 권위의 대회다.
본선에는 사전 1차 논문 심사를 통과한 9개 시·도가 진출했으며, 현장에서 추첨된 순서에 따라 연구 발표가 진행됐다.
충남 대표로는 부여소방서 박준서 소방장이 출전해 '구획실 수직벽면 화재 패턴과 발화지점의 상관관계 연구 – 삼각형 기법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박 소방장은 연구의 전문성·창의성·연구 충실성 등 주요 평가항목에서 고득점을 받으며 전국 1위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연구는 화재실 내부 벽면 패턴을 데이터 기반으로 정밀 분석한 과학적 조사기법을 정량화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삼각형 기법’(Triangular Pattern Analysis)을 적용해 발화지점을 정밀하게 추정하는 방식은 심사위원들로부터 “현장 조사역량 강화에 실질적 기여가 가능한 연구”라는 호평을 받았다.
충남소방에 따르면 삼각형 기법은 불길과 열기류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벽면의 패턴을 삼각 분포 형태로 분석해 화재가 시작된 지점을 좁혀가는 방식으로, 복잡한 패턴이 뒤섞인 실화재 상황에서도 발화 원점을 고도화해 추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는 향후 추가 연구가 진행되면 전국 화재조사 패턴 분석의 새로운 표준 기법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높다는 평가다.
박준서 소방장은 “삼각형 기법은 복잡한 화재 흔적 속에서도 ‘현장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원칙 아래 과학적 근거를 찾아가는 과정”이라며 “이번 연구를 발판으로 다양한 후속 연구를 이어가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조사기법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성호선 소방본부장은 “충남의 화재조사가 현장 실험과 데이터 분석 기반 연구로 전국 최우수 기관으로 인정받은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발화 원인 규명 정확도를 높이고 과학적 조사기법을 확산하기 위해 전문 인력 양성과 연구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대회는 화재조사·감식기법 고도화를 위한 교류의 장으로, 전국 화재조사관 126명이 참석했으며, 2일차에는 배터리 열폭주 현장 기체분석기법, 철도·지하철 객차 배터리 사고 분석 등을 주제로 특별 세미나가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