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투원뉴스) 광주광역시의회 채은지 의원(행정자치위원회, 부의장)은 12일 열린 광주관광공사 행정사무감사에서 최근 논란이 된 승진 인사와 관련해 “공공기관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스스로 무너뜨린 행정 실패이자, 기관장 리더십 실종의 결과이며 광주시의 관리 부재가 낳은 총체적 난맥상”이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채 의원은 감사에서 “관광공사 노사는 실제 이행용 ‘직급 통합 합의서’ 외에 외부 공개용 ‘이면 합의서’를 별도로 작성하고, 광주시에는 공개용 합의서만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이는 공공기관 운영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정면으로 위반한 중대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채 의원은 기관장이 노사 간 합의한 ‘승진제도’ 조항을 무시한 채, 임기 종료를 약 10개월 남겨둔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승진 인사를 단행하고 당일 곧바로 사의를 표명한 점을 문제 삼았다.
채 의원은 “기관장이 노사 간 3자 합의를 무시하고, 합의 내용과 달리 특정 직원들을 승진시킨 것은 절차적 정당성을 완전히 상실한 무책임한 행위”라며 “특히 논란을 초래한 인사발령 직후 곧바로 사의를 표명한 것은 책임을 회피한 행태로, 이는 명백한 인사권 남용이자 조직 내 심각한 노노(勞勞) 갈등의 단초를 제공한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채 의원은 노조 또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직원 간 형평성과 조직 통합의 대의를 앞세워야 할 노조가 통합 논의를 2년간 지연시킨 것은 공공기관 통합의 취지를 스스로 훼손한 행위이며, 이면합의에 동참한 것에 대해서도 무거운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사태를 “광주시 출자·출연기관의 인사관리체계 부실을 드러낸 대표적 사례”로 규정하며 광주시의 관리·감독 부재를 강하게 질타했다.
채 의원은 “일방적인 기관 통합 이후 2년 동안 직급 통합을 방치하고, 사태가 불거질 때까지 관리·감독을 제대로 하지 않은 광주시에 근본적인 책임이 있다”며 “통합기관 전반에 대한 인사 투명성 및 공정성 점검과 재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채 의원은 사태 수습을 위해 ▲현 승진 인사 잠정 철회 ▲이면합의 진상조사 ▲노사·광주시가 함께 참여하는 공동 TF 구성을 강력히 요구했다.
그는 “이번 사태는 기관장의 인사권 남용, 노사의 불투명한 합의, 그리고 광주시의 행정공백이 겹친 총체적 실패”라며 “지금이라도 노사가 신뢰를 회복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통합 인사제도를 새롭게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