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투원뉴스) 광주 서남·광산권을 중심으로 발생한 수돗물 필터 변색 문제와 관련하여, 상수도 수질 관리 체계 전반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광주광역시의회 이명노 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3)은 10일 열린 상수도사업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이번 사안은 단순 망간 검출 문제가 아니라 ‘변화 상황을 조기에 포착하지 못한 수질 감시 체계의 한계’가 드러난 것”이라며,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외부기관 교차 검증 도입을 요구했다.
이번 변색 신고는 지난 10월 17일부터 접수됐으며, 상수도사업본부는 21일이 되어서야 관련 설명과 안내를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만약 해당 변색 원인이 망간이 아닌 인체 유해 물질이었다면, 수십만의 시민 생명이 위험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특히 정수장에서 배수지, 관말을 거쳐 수용가에 이르는 과정에서 시간대별 수질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감시 체계가 부재하고, 민원 접수가 수질연구소와 수도사업소 등 기관별로 분산 관리되어 통합 대응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문제로 제기했다.
실제 수질연구소는 10월 17일부터 29일까지 총 234건의 필터 변색 민원을 접수했다고 밝힌 반면, 수도사업소는 자료 제출 과정에서 150여 건으로 파악해 부서 간 민원 통계조차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드러났다.
이 의원은 “수질 기준이 허용 범위 내였다는 설명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경보 발령 기준, 민원 정보 통합 관리, 현장 대응 절차가 작동했는지 전면적인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의원은 정수장부터 수용가까지 이어지는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체계 구축, 보건환경연구원·환경공단 등 외부 전문기관과의 교차 검증 시스템 도입, 변색·이상 징후 발생 시 즉각 안내할 수 있는 사전 경보 기준 재정비, 부서별로 흩어져 있는 수질 민원 데이터의 통합 관리 체계 구축, 그리고 표준 대응 절차(SOP)의 현장 적용 상태를 전면 점검할 것을 시에 공식적으로 요구했다.
이 의원은 끝으로 “이번 사안은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시민 안전과 신뢰의 문제”라며, “상수도 시스템은 ‘다행히 괜찮았다’가 아니라 ‘항상 대비되어 있다’는 수준이어야 한다. 이번 계기를 통해 감시·경보·대응 체계를 전면 재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