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

안도걸 의원, ‘프로젝트 한강’, 예금토큰 전환액 57.9% 미사용

안도걸 의원, “스테이블코인 정착 위해 활용사례 발굴에 강한 비은행 기업 참여 필요”

 

(원투원뉴스) 국회 기획재정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도걸 의원(광주 동남을, 정책위 상임부의장)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프로젝트 한강 실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이 전환한 예금토큰 중 57.9%가 사용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025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디지털화폐를 이용한 결제 테스트인 ‘프로젝트 한강’을 진행했다. 테스트에는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부산은행 등 7개 시중은행이 테스트에 참여했다. 참여 은행은 이용자의 신청에 따라 이용자의 은행 예금을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예금 토큰으로 전환해주었다. 참여 은행은 예금 토큰 발행 잔액 대비 7% 이상을 한국은행이 발행한 디지털화폐로 보유하도록 설계됐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전자지갑은 총 8.1만개가 개설됐다. 개설된 전자지갑은 당초 이용자 모집 상한이었던 10만명 대비 81% 수준으로, 이용자의 디지털화폐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반면, 예금토큰의 실제 사용 실적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거래 기간 중 예금 토큰으로 전환된 규모는 16.4억원으로 지갑 1개 평균 20,246원으로 나타났다. 예금 토큰의 실제 결제 실적은 더욱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거래 기간 중 예금 토큰 결제는 6만건, 결제금액은 6.9억원이었다. 거래 1건당 11,500원이 결제된 것이다. 전체 예금 토큰 전환액 대비 결제 금액은 42.1%로, 실제로 예금 토큰 전환액 중 절반 이상이 프로젝트 기간 중 사용되지 않았다.

 

디지털화폐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 이용이 저조한 원인은 사용처 부족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테스트에서는 한국은행의 주도로 사용처를 확보했다. 사용처로는 오프라인 ▲교보문고 ▲세븐일레븐 ▲이디야커피(부산·인천 중심 100여개 매장, ▲농협 하나로마트 6개점, 온라인 상점 ▲현대홈쇼핑 ▲COSMO(K-POP 굿즈) ▲땡겨요(배달플랫폼) 등 총 7곳에 불과했다.

 

안도걸 의원은 “프로젝트 한강은 은행 중심의 디지털화폐 전환 실험이 실제 수요를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안 의원은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활용처 발굴이 관건”이라며,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은행에만 한정하지 않고 핀테크, 카드업계 등 활용처 확보에서 강점을 지닌 비은행 기업의 참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