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투원뉴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국민의힘, 경기 여주시‧양평군)이 산림청으로 제출받은 '최근 5년(2021~202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재선충병은 2021년 30만 7,919그루, 2022년 37만 8,079그루에서 2023년 106만 5,967그루로 증가한 후 2024년 89만 9,017그루로 감소했으나 올해 148만 6,338그루로 다시 급증하며, 최근 5년간 총 413만 7,320그루가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재선충병의 지역별 발생 현황은 경북이 186만 5,147그루로 전체의 45.1%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경남 89만 8,168그루(21.7%), 울산 35만 4,924그루(8.6%), 산림청 국유림 31만 7,524그루(7.7%), 대구 18만 6,733그루(4.5%), 경기 14만 3,845그루(3.5%), 제주 13만 6,061그루(3.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시‧군‧구별 소나무재선충 피해 현황도 매년 증가추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한 시‧군‧구는 2021년 131곳, 2022년 135곳, 2023년 140곳, 2024년 142곳, 2025년 154곳으로 늘었으며, 피해 정도가 심각한 극심 지역 시‧군‧구는 2021년과 2022년도에는 없었으나 2025년 6곳으로 확인됐다.
2025년 기준, '극심 지역' 울산 울주군, 경북 포항시‧경주시‧안동시, 경남 밀양시‧창녕군 등 6곳으로 조사됐으며, '심 지역'은 대구 달성군, 울산 북구, 경기 양평군, 경북 구미시 등 4곳으로 나타나, 지난해와 비교해 '극심 지역'은 경남 창녕군, '심 지역'은 대구 달성군과 울산 북구가 추가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의 신규 및 재발생한 시‧군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총 30건 중 22건은 인위적 확산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위적 확산 지역은 2021년 강원 삼척, 동해, 충북 충주 등 3곳, 2022년 강원 화천, 철원, 충남 당진, 아산, 경북 청송, 전남 화순, 나주 등 7곳, 2023년 경기 과천, 안산 등 2곳, 2024년 대전 동구, 중구, 충북 영동, 경북 울진, 전북 고창, 무주, 전남 완도, 영광, 곡성 등 9곳, 2025년 전북 장수 1곳 등으로 확인됐다.
국립산림과학원 등에 따르면, 인위적 확산의 주요 원인은 화목 유입 과정 중 감염목이 유입되어 피해가 확산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지난해 소나무재선충병이 재발생한 경북 울진군의 경우, 보유 땔감에서 매개충의 침입공 및 탈출공이 다수 확인됐고, 소나무재선충병이 새롭게 발생한 전북 무주군도 인위적인 화목 및 목재 유입 과정 중 감염목이 유입됐으며, 전남 완도군의 소나무재선충병이 새롭게 발생한 원인도 인위적인 목재 유입 과정 중 감염목이 유입되어 인근으로 피해가 추가 확산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와 관련 김선교 의원은 “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4천억 원에 가까운 예산을 쓰고 있지만, 피해가 계속 증가해 매우 안타까운 마음”이라며, “특히, 부주의에 의한 인위적 확산으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특별 단속을 강화하는 등 우리의 소중한 산림이 훼손, 파괴되지 않도록 정부는 좀 더 철저한 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